미포병지번역

The King of Battle: Targeting and Fires at Minas Tirith

103ROTC #20 LTC / On Artillery 2025. 2. 27. 23:17

전투의 왕 : Minas Tirith 에서의 표적처리와 화력

주요용어
LSCO Large-Scale Combat Operations
HPTL High-Payoff Target List
AGM Attack Guidance Matrix
TSM Target Synchronization Matrix
D3A Methodology
IPB Intelligence Preparation of the Battle
HVT High-Value Target
TSS Target Selection Standard
ISCM Information Collection Synchronization Matrix
PIR Priority Intelligence Requirements
IC Information Collection
BDA Battle Damage Assessments
CAS Close Air Support

1. 공상전투 장면에서 보았던 절대적으로 많은 수의 집중된 보병공격과 기병의 돌격에 대하여, 부분 전체에   걸쳐 전개된 활용된 간졉화력과 방공에는 심각하게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3부작 영화인 반지의 제왕(The Lord of the Rings)의 마지막 1회분인 왕의 귀환(The Return of the King) 중에서 Pelennor 평원에서의 전투는 눈에 띄게 예외적이다. 이 전투는 대규모 전투작전(LSCO) 동안 이와같은 자산을 운용에서 얻는 혜택과 이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했을 때와 관련된 위험 뿐만 아니라 화력전투 수행기능도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교전은 각 전투원에게 핵심표적목록(HPTL), 공격지침도표(AGM), 표적동시화도표(TSM)을 발전시키는 방법과 이것에 치명적인 자산을 적용하는 방법을 포함한 표적처리 과정을 지켜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Gondor 육군은 Pelennor 평원 전투에서 자신들의 야전포병 자산을 가지고서 자신들이 핵심표적을 파괴할 수 있었을 AGM에 따라서 방공을 겹쳐놓는 구축에 실패했기때문에 Mondor군과 대적하는데서 승리를 신속하게 달성할 수 없었다. 한편 Mondor군은 HPTL에 있는 Gondor 자산을 성공적으로 표적화하고 자신의 방책을 할 수 있게 요망효과를 만드는 D3A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2. 미야교 FM 3-60 육군 표적처리에 의하면, 선택된 표적처리 과정은 결정, 탐지, 타격, 그리고 평가하는 육군의 표적처리방법론, 또는 D3A 방법론을 활용하는  것이다. 이 방법론은 교전이 요망효과를 만드는지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적의 어떤 자산을 표적처리할 것인가를 결정하는데 부터 전체 과정을 포함한다. 미국 군대의 표적처리 과정에는 관련된 많은 핵심요원이 있다. 여기에는 지휘관, 법무참모(SJA),  정보장교, 공군연락장교(ALO), 표적처리장교, 야전포병 정보장교(FAIO), 그리고 다양한 전투수행 기능의 많은 인원을 포함한다. 2개 군의 지휘관인 백색의 간달프(Gandalf the White (Gondor) : 불의 반지 나랴의 소유자로 회색의 간달프가 반지원정대로 모리아로 들어갔다가 나오는 과정에서 심연으로 떨어진 후에 부활한 간달프)와 마법사왕((Witch-king of Angmar (Mondor) : 사우론 손에 들린 악의 투창으로 묘사)에 의해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고 그들 각자는 Minas Tirith에서 D3A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Decide(결정)

3. 미야교 FM 3-60에 의하면, D3A 방법론에서 이 기능은 "대상, 시기, 장소, 그리고 표적에 대해 능력을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방법론 내에서 주 계획수립 기능으로서 지원한다. Witch-king이 자신의 부대를 Minas Tirith로 이끌때, 자신 및 Gondor 참모는 앞서서 전투준비를 위해 IPB를 실시했다. 임무분석 부분을 하는 동안, 양쪽의 정보 및 화력장교는 HVT와 HPT를 식별하려고 했을 것이다. ATP 2-01.3 IPB에 의하면, HVP는 "적 지휘관이 성공적인 임무완수를 위해서 요구하는 표적"이다. 수세기 동안 상호 대적하는 전투에 개입했다면, 각 참모는 상대편이 보유한 능력을 잘 알았고 그들의 HVT를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었다. APT 2-01.3에서는 HPT를 "적에게 손실인 표적은 우군 방책의 성공에 중대하게 기여할 것이다"라고 정의한다.


4. 결정기능의 다음 부분은 TSS를 결정하는 것이다. 미야교 FM 3-60에 의하면, 이것은 "적의 활동에 적용하고 이 활동이 표적인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기준"이다. 이것은 우리의 사례연구를 매우 쉽게 한다. 즉, 만일 우리가 이 시간에 Pelennor 평원에 있거나 Minas Tirith의 성벽안에 있었다면, 당신이 표적이었다 (특히 Mordor에게 민간인을 표적처리하는데 양심의 가책이  주어졌고 잠재적으로 그들을 중지시키는 장소에 주 조약이 없었다면). AGM을 발전시키는 것은  표적이라고 간주하고 요망효과를 만들기 위해 각각의 표적에 적절한 자산으로 맞춘 것을 보장하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서 표적에 타격체계를 정렬하는 것을 도울 수 있는 또 다른 도구이다.


5. 또한 결정기능에 포함된 것은 정보수집동시화도표( ICSM)과 TSM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미야교 FM 3-60에 의하면, ICSM은 "우선정보요구(PIR)에 응하고 HPT를 식별하는데 수집노력을 집중한다." 한편 TSM은 "HPT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위치를 가진 특정 표적을 기록하도록 설계된다." Gondor의 정보 수집자산의 부족과 Nazgul은 공세적 능력에서 대부분 사용되기때문에, 양측 전투원 어느 누구도 ICSM을 세부적으로 발전시키는 자신들의 시간을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고 각각의 참모는 전투가 개시되자 D3A 방법론을 더 잘 지원하기 위한 TSM을 만들었다.

6. Gondor의 TSM에서는, 그들은 전장주변으로 기동하거나 Minas Tirith의 성벽을 돌파하거나 넘는 능력을 저하시키기위해서 적의 항공 및 공병 자산에 순서대로 각각 우선순위를 두었다. 궁수(archer)는 자신들의 첫번째 3개 우선순위에 대한 타격 기능을 위해서 Gondor의 투석기(trebuchet)와 성문을 방호하는데 목적을 두고서 자신들의 자산을 집중하였다. Gandalf는 Witch-king을 "그들이 말하길 죽일 수 있는 산자는 없는 자로" 언급했듯이, Gandalf는 Witch-king을 그가 단지 타격 기능을 하기 위한 자산이 없었기때문에 TSM의 바닦에 두었다.


7. Mordor의 TSM에 대해서, The Great Gate of the City (Minas Tirith의 정문)는 그들의 HPTL에 있는 1급 표적일지라도, 이들을 처음에는 자신들의 공병자산인 Grond (늑대 모양의 대형 투석기로 흑철로 안들어져 불에 타지 않으며 강철사슬로 지탱)와 siege-tower (공성탑 : 요새의 방벽에 접근할 때, 성을 방어하는 수비자로부터 공격자와 사다리를 방어하기위해 특별히 만들어진 공성무기)를 보호하기위해 Gordor의 화력지원과  Anti-Dragon Artillery을 우선화했다. Witch-king 자신이 직접 Gandalf를 깨뜨릴 것이라고 선언하는 동안, 그에게는 처음에 Minas Tirith의 성벽을 돌파하기 위한 자신의 군에게 허락했던 표적보다 낮은 우선순위를 주었다. 부대를 방어자의 사정거리내로 이동하는 것이 전투력에 적당치 않은 위험을 보였기때문에, IPB는 병력절약의 지혜를 식별했어야 했다. 평원에 있는 Witch-king의 진지는 개방형 병참선과 Osgiliath (Gondor의 초기 수도)의 폐허로 부터 거의 제한이 없는 탄약보급을 허용했다. 그가 방자로부터 1종과 5종 보급을 분리하는 동안, 지상 강습을 감행하기 전에 후방 경계를 설치하고 정보수집 자산을 강화하고 장거리 화력을 활용할 수 있었다. 신속한 승리를 하려는 Sauron의 지휘관 의도는 Witch-king에게 목표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시간을 소비하는 것보다는 실패로 급히 처리하도록 강요했다.

Detect(탐지)
8. 미야교 FM 3-60에 따르면, 탐지기능의 목적은 "효과적으로 겹쳐놓는 수집계획을 만들기위해서 가용한 모든 능력을 최대로 사용하여 표적을 추적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ICSM은 자신의 부대가 승리를 향해 나아갈 수 있게 한층 더 지휘하기위해 결심지점을 그들에게 교대로 제시했을 PIR에 응답하기위해서 활용될 것이다. 개방된 전장의 성질과 전용 정보수집 자산의 부족때문에 Gordor와 Mordor군 모두 이 처럼 다소 표적처리 과정의 탐지기능을 무시했던 정보수집을 진정으로 수집하지 못했다. 이 단계에서 표적에 대한 적극적인 식별은 필수적이지만, 탐지를 전투를 하는 동안 양편 모두에게 가장 쉽게 만들었던 전투의 close-hand 성질때문에 양쪽에는 비교적 쉽다.

Deliver(타격)

9. 미야교 FM 3-60에 의하면, 타격기능은 "일단 HPT의 위치를 잡고서 적극적으로 식별한 후 표적 공격지침을 실시하고 지휘관의 전투계획을 지원한다. " 이 기능을 하는 동안, 요망효과(파괴, 무력화, 제압과 같은)를 만들기 위해서 AGM에 의거 결정된 타격자산으로 표적과 교전한다. 대부분의 Pelennor 평원 전투는 D3A 방법론의 타격기능 중에 일어난다. 그래서 우리는 교전을 하는 동안 이전의 표적 계획수립을 어떻게 했는지를 논의할 점이 있다.

10. Osgiliath의 몰락후, Mondor 육군은 Pelennor 평원으로 내려갔다. Minas Tirith의 병사와 시민의 사기를 꺽기위하여 Osgiliath 전역으로부터 "포로"의 머리를 배포하기위해 투석기를 사용하여 교전을 시작했다. 방자의 의지는 중력의 중심을 표현하고 심리적 작전수단으로서 slain의 머리를 계획적인 Witch-king의 사용은 이러한 선택을 주도했다. 이러한 행동에 병사와 시민은 당황했고 Gondor의 섭정인 Denethor 2와 함께 자신의 병사들에게 "초소를 버리고, 달아나라, 살기위해 달아나라!"라고 외쳤다. Gandalf는 재빠르게 Denethor 2를 물리치고, Gondor군의 지휘부를 전복시켰고 "전투준비하라!"고 외쳤다. Mordor의 catapult가 Gondor의 성벽를 연거푸 때리기를 계속했기때문에, 뒤따른 trebuchet가 이러한 과정에서  orc 보병을 파괴하려고  그들에 대해 대화력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siege-tower가 성벽에 접근했기때문에, Gandalf는 엔진을 전방으로 추진하고 있는 자신들의 archer에게 "troll을 조준하라!"고 외치며  사격을 재지시했다. Gordon의 trebuchet는 자신의 노력을 도시의 성벽을 도달하기전에 그들의 많은 것을 파괴하는 것과 함께 siege-tower를 향하도록 재지시했다.

11. 이 부분에서, Witch-king은 특별히 trebuchet를  파괴하기 위해서 Nazgul(원래는 인간의 왕이었지만, 권능의 반지를 착용하여 사우론에게 굴복한 아홉 남자로 반지의 힘에 완전히 묶여 사우론의 하인이 됐다. 초기에는 검은색의 말을 탔지만, 후반부에는 검은색의 익룡을 타고 등장했음)을 개입시키려고 결심했다. 즉, trebuchet가 전투에서 남았다면 그들은 Minas Tirith의 성벽의 규모를 측정하는 군의 능력 뿐만아니라 그들만의 돌파자산인 Grond(거대한 망치형 대포)조차 위협했다. 지형의 제한은 trebuchet를 차폐되는 곳에 두는 것보다 성벽 꼭대기에 설치하는 것을 필요로 했다. 이것은 그들로 하여금 공수공격에 취약하게 했다. 불행하게도 Gordor 육군은 자신들의 화력지원 자산을 방호하는데 있어서 그들의 방호자산, archer, Gandalf 운용을 실패했다. Archer는 Gandalf의 빛을 발산하는 장비(protective light)가 이들의 주요장비의 구성품을 피하는데 사용되는 동안 fell beast (a large, winged, and monstrous creature that serves as a mount for the Nazgul)에 대한 정확한 ADA를 제공할 수 있었다.

12. 대화력 교전 전반에 걸쳐서 다른 중요한 것중 하나는 The Great of the City에서 발생하고 있었다. Mordor의 초기 돌파시도가 실패한 이후, Witch-king의 부관중 1명이 자신있게 "Ground가 그것을 돌파할 것이다"라고 말하면서 다른 타격자산을 가지고서 HPT를 재공격하기로 결정했다. great beast에 의해 당겨지고 troll에 의해 운용되었기때문에, Ground는 Great Gate를 돌파하는 것이 거대한 철로 만든 파성퇴(metal battering ram)의 유일한 전술적 임무이었다. 집중 표적과 교전하는 trebuchet가 없다면 archer가 어쩔수없이 교전했다면, Gondor는 siege engine을 파괴할 수 있거나 각각 troll 또는 great beast를 무력화하기 위해 남아있는 타격자산이 없었다. Grond 는 Mordor의 지상군이 도시안으로 신속하게 기동하고 돌파를 확장할 수 있게 허용하도록 성문을 쉽게 돌파할 수 있었다. 이 전투단계에서 이들의 중요성이 지금까지 심각하게 감소된 Gondor인의 archer를 옆에 남겨 두고 Mordor의 HPTL에는 단지 백색의 Gandalf라는 표적이 1개 더 있었다. Witch-king은  몸소 White Wizard가 최후의 피난처로 더 높이 퇴각하지 못하게 하고 그의 참모와 분리시키기 위해 그와 교전하기로 결정했다. 그가 최종 타격을 가하려고 할때, 전장의 아래에서 큰 나팔소리를 내었다. 이 지점까지, 모든 표적은 신중하게 검토하거나, 계획표적에는 있지만 전투를 하는 동안 동적 또는 미계획 표적도 나타날 수 있다. 동적 표적은 HPTL, AGM, 그리고 궁극적으로 TSM을 변경할 수 있지만, 가장 적합한 가용 타격수단으로 즉각적으로 처리할 것이다. 이것은 전투를 하는 동안 여러번 발생한다. 특히 새로운 군이 참모가 초기에는 준비하지 않았던 독특한 능력을 가지고 도착함에 따라 the Horn of the Mark이 소리를 내었을때, 이것은 Mordor군에게 집중적이고 급박한 위협을 보였던 Rohirrim 기병의 도착을 알렸다. Witch-king은 위협을 식별했기때문에 새로운 순위의 HPT인 King Theoden of Rohan과 교전하기위해서 Gandalf와의 교전으로부터 철수했다. Minas Tirith의 위쪽 언덕으로부터 아래로 기동하면서 Rohirrim 기병은 Mordor 군으로부터 주도권을 빼았으면서 Mordor의 orc 보병이 있는 Pelennor 평원을 평정하였다. 새릅게 도착한 Haradrim( mumakil 기병에 대한 또 다른 charge를 형성한 후, Witch-king은 Theoden 왕과 직접 교전하여 그에게 치명적인 부상을 입혔다. Theoden의 딸인 Eowyn과 Merry Brandybuck은 후자는 죽이고 그들은 첫째로 유일한 표적이 Gondor 의 HPTL에서 제거되도록 Witch-king으로부터 Theoden을 경호했다.

13. 타격기능의 전망으로부터, Gordor군이 여전히 이미 도시내에서 Mordor 보병에 대해 방어를 하고 있을지라도 전투는 지금 종결되었다. 그들이 도착하자말자, The Dead Men of Dunharrow (Men of the white mountains cursed to remain in middle-earth by Isildur. after they abandoned their oath to aid him in the war of the last Alliance)는 Pelennor 평원에서 남아있던 Haradrim (one of the first true setters of middle earth)과 mumakil(코끼리와 비슷한 거대한 짐승)을 감소시키고 Minas Tirith의 troll과 orc 보병을 제거한다. Gondor와 그의 동맹군은 비록 그들이 Mondor 군을 표적처리하는데서 초라하게 성공하지 못했을지라도 승리를 거둔다.

Assess(평가)

14. 이 사례연구에서 모든 표적은 치명적인 타격 선택사양에 의거 교전이 이루어진다. 그래서 합동회장 JP 3-60,  합동 표적처리의  전투평가는 가장 적용적이다. JP 3-60에 의하면, 전투평가 실시는 "군사작전간" 부대운용에 대한 전반적인 효과성에 대한 결정"이다. 이것은 표적에 대한 교전이 요망효과를 만들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전투피해평가(BDA)를 수집하고 평가하기 위한 정보수집자산을 활용해야 한다.  이 평가는 또한 참모에게 탄약효과평가(Munitions Effectiveness  Assessment)와 지휘관에게 재공격 건의(Reattack Recommendation)를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만일 former가 표적과 교전에 자산과 탄약의 전망으로부터 성공적이었고 또한 만일 요망효과를 달성하지 못했다면 잠재적으로 다른 자산(catapult 대신에 Nazgul) 또는 다른 형태의 탄약(통상적인 화살에 불화살을 함께)으로 재교전하는 것으로 평가한다. 또한 만일 요망효과를 달성하지 못했다면, 참모는 지휘관에게 이러한 건의가 다른 HPT를 수립하거나 표적처리하는 것을 포기하는 것을 이해하면서 재공격 건의를 제공한다.

15. Pelennor 평원에서의 빠르고 유동적인 전투의 성질때문에, 전용 수집자산은 거의 BDA를 수행하기 위해서만 더물게 사용된다. 따라서 타격 및 평가 기능은 대부분 서로 평행적으로 일어난다. 즉, BDA를 평가하는 것은 요망효과를 달성하지 못했다면 개인적인 판단으로 매우 신속하게 결정되고 타격자산은 거의 변경을 하지 않는다. 이에 대한 하나의 예외는 Mordor의 catapult가 Gordor의 trebuchet에 대하여 무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을 때이다. Witch-king은 trebuchet에 대해 자신의 항공자산인 fell beast에  타고 있는 Nazgul에게 CAS를 수행하도록 지시했다. 이러한 표적처리 교전이 그들의 전술적 임무과업(파괴)에 대한 요망효과를 달성한 후에 그들은 즉각적으로 정보수집 임무로 복귀했다.

16. Pelennor 평원이 잠잠해지에 따라 Gondor와 Rohan의 연합된 정복자는 전투전반에 걸쳐서 표적처리와 Mordor과 다음 교전을 하는 동안 D3A 방법론의 사용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평가를 잘 할 수 있었다. Gordor가 적기에 동맹군의 도착으로 인해서 도움을 받고서 전투에서 승리했을지라도, Mordor는 표적처리를 이행하는데 있어서 훨씬  더 성공적이었다. 그들은 표적을 우선순위화했고 그것에 대해서 제한된 정보수집자산에 지시를 했고, HPTL에 있는 표적에 대해 치명적인 자산을 적절하게 투발하였다. 그래서 다른 자산이 재공격 건의에 더 적합한 지를 계속적으로  평가했다. 만일 Theoden왕과 Rohirrim의 갑작스러운 출현에 대한 것이 아니다면, Witch-king은 Mordor의 HPTL에 있는 마지막 표적인 Gandalf를 파멸시켰을 것이며 Pelennor 평원과 Minas Tirith를 거의 취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