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포병지번역

THE COORDINATED FIRE LINE IN THE SAND

103ROTC #20 LTC / On Artillery 2025. 3. 16. 09:56

DEFINING DIVISION AND BRIGADE FIGHTS

불안정한 기초의 화력협조선
(사단 및 여단 전투의 범위를 한정하기)

주요 용어
FSCM Fire Support coordination measure
CFL Coordinated Fire Line
LSCO large scale combat operations
NFA No Fire Areas
UAP unit airspace plan
TWG Target Working Group
TCB Target Coordination Board
WfFs Warfighting Functions

1.
작전구성틀 (operational framework)은 사단과 여단이 작전지역내에서 각 제대의 노력에 대한 책임을 어떻게 윤곽을 그리는 기초와 구조이다. 군사행동의 책임에 대한  작전구성틀을 나누는 선은 사격협조선 (CFL)이라고 명명된 화력지원협조방법 (FSCM)에 의해 좌우된다. CFL은 다양한 제대에서 작전적 효과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전장의 종심 및 근접지역 너머로 허용적이고 동시화된 작전을 가능하게 하는 중추적인 요소로서 역활을 한다. 이것은 공간과 시간에 있는 목표를 표적처리하고 작전의 결정적인 지점(decisive point)에 화력 집중을 용이하게 하는 책임의 윤곽을 그린다.

2. 합동회장 JP 3-09에  의하면, CFL의 목적은 CFL 너머에 있는 표적에 대해서 표적이 위치한 지역의 지상 지휘관과의 협조없이 지대지 공격을 신속하게 하는데 있다. 이 개념을 작전구성틀과 짝짓게 함으로써, 부대는 조건 설정의 책임을 틀을 만드는 경계선으로서 CFL을 활용해야 한다. 대대가 적과 근접하여 파괴하듯이, 조건 설정을 위한 여단의 종심지역은 여단  CFL과 사단 CFL 사이에 놓여 있어야 한다. 사단의 종심지역은 사단 CFL로부터 군단 CFL 또는 FSCL까지 확장된다. CFL 전진을 촉발하기 위한 시기,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