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포병지번역

THE COORDINATED FIRE LINE IN THE SAND

103ROTC #20 LTC / On Artillery 2025. 3. 16. 09:56

DEFINING DIVISION AND BRIGADE FIGHTS

불안정한 기초의 화력협조선
(사단 및 여단 전투의 범위를 한정하기)

주요 용어
FSCM Fire Support coordination measure
CFL Coordinated Fire Line
LSCO large scale combat operations
NFA No Fire Areas
UAP unit airspace plan
TWG Target Working Group
TCB Target Coordination Board
WfFs Warfighting Functions

1.
작전구성틀 (operational framework)은 사단과 여단이 작전지역내에서 각 제대의 노력에 대한 책임을 어떻게 윤곽을 그리는 기초와 구조이다. 군사행동의 책임에 대한  작전구성틀을 나누는 선은 사격협조선 (CFL)이라고 명명된 화력지원협조방법 (FSCM)에 의해 좌우된다. CFL은 다양한 제대에서 작전적 효과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전장의 종심 및 근접지역 너머로 허용적이고 동시화된 작전을 가능하게 하는 중추적인 요소로서 역활을 한다. 이것은 공간과 시간에 있는 목표를 표적처리하고 작전의 결정적인 지점(decisive point)에 화력 집중을 용이하게 하는 책임의 윤곽을 그린다.

2. 합동회장 JP 3-09에  의하면, CFL의 목적은 CFL 너머에 있는 표적에 대해서 표적이 위치한 지역의 지상 지휘관과의 협조없이 지대지 공격을 신속하게 하는데 있다. 이 개념을 작전구성틀과 짝짓게 함으로써, 부대는 조건 설정의 책임을 틀을 만드는 경계선으로서 CFL을 활용해야 한다. 대대가 적과 근접하여 파괴하듯이, 조건 설정을 위한 여단의 종심지역은 여단  CFL과 사단 CFL 사이에 놓여 있어야 한다. 사단의 종심지역은 사단 CFL로부터 군단 CFL 또는 FSCL까지 확장된다. CFL 전진을 촉발하기 위한 시기, 자리잡기, 상향식 정련은 이러한 개념의 성공에 필수적이다.

The Divion Deep (사단 종심)

3. 전장구성틀(Battlefield Framework)의 맥락내에서 사단 종심은 FSCL 또는 작전에 좌우되는 군단 CFL까지 확대된다. 이 선들 밖에서, 군단 및 고정익 자산은 협조 요구없이 표적을 차단할 수 있다. 사단은 지명과정(nomination process)을 사용하여 사단의 장차 표적의 모습을 다듬기위해서 군단 자산을 요청해야 하고 편제 자산으로 이 선들의 원거리까지 사격할 수 있는 승인을 얻기위해 정해진 절차를 이해해야 한다. 군단 CFL 또는 FSCL 너머 사격 임무의  예로는 로켓 발사 스위치를 가진 종심 대화력 사격이 있다. 이 표적들은 표적 쇠퇴로 인한 시기적절한 효과를 만들기위한 신속한 처리과정과 신속한 충돌분리에 대한 이해를 요구한다.

4. 사단 종심지역에서 가까운 경계(boundary)는 사단 CFL이다. 사단 및 군단 CFL 또는 FSCL 사이에서, 사단은 다영역 작전과 후속 여단 및 대대 전투의 집중을 통하여 노력의 모습을 다듬는데 초점을 둔다. 사단이 성공적으로 되기 위해서는, 직접 또는 일반지원  로켓 포병을 대포의 최대 효과사거리 밖까지 요구하는 범위까지 할당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단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근접항공지원과 접촉이 없는 공격을 수행하는 고정 및 회전익 자산을 강화해야만 한다. 사단은 예하부대 기동의 전진과 편제 간접 사격거리를 근거로 하지않고 사단 CFL을 앞으로 전진시켜야 한다. 이것은 여단으로 하여금 허용사격을 극대화하면서 각각의 종심지역에서 내부 조건조성을 계속할 수 있게 한다. 사단 CFL의 작전구성틀을 구성하는데 중요한 것은 여단으로 부터의 상향식 정련이다. 여단 전투단(BCT)에 대한 제한된 종심 요인은 사격임무 계획수립과 표적처리 효과성에 대한 탄약의 가용성에 따라 대략 16 또는 24km이다. 사단 CFL을 더 많이 확대하는 것은 여단이 효과적으로 모습을 다듬을 수 없는 전투공간을 만든다. 예하부대에  의해 수정된 사단 CFL인 사단 CFL "지그재그 모습"은 이 문제점을 완화한다. 모든 제대의 부대에게 내부 CFL 변경을 지시하고 CFL 전진을 동시통합하기 위해서 내부 CFL  변경을 지시하고 상급부대로 시기적절한 경고를 제공하기 위해서 우군의 속도(friendly tempo), 적 상황분석도 (enemy situation template),  그리고 지형평가(terrain assessment)와 연계된 세부적인 계기(trigger)을 사용해야 한다.

The Brigade Deep (여단 종심)

6. 기동대대가 전장구성틀에서 그 후에 있을  전투에서 승리하도록 여단 구획을 그들의 종심지역에 알맞게 조절하고 사단 CFL 부터 여단 CFL 까지 연장한다. 이 공간내에서, 여단은 내부 허용 FSCM과 후속의 기동작전을 지원하기위해 모습을 다듬으면서 전투를 한다. 여단 CFL을 설치하는 것은 전장 입체도형(battlefield geometry)의 가까운 경계로서 박격포 최대 효과사거리 활용하는  사단 CFL과 같은 방법론을 따라야 한다. 이것은 기동속도를 지지하기위해 CFL 변경의 꾸준한 필요를 완화하고 여단 CFL에 못미치는 전투공간의 주인으로서 예하대대의 틀을 짜준다.  대규모 전투작전(LSCO)을 위해 구축되는 사단포병(DIVARTY)하에서 작전하는 사단은 과업을 편성하고 임무와 여단 주공의 목표 요구사항을 기초로 한 추가적인 대포부대에 대한 야전포병 지원관계를 설정해야 한다. 자산과 관계에 대해 균형을 맞추려는 행위는 사단 자산이 CFL에 맞추어진 작전구성틀과 상관없이 사단 및 여단 종심에서 전투할 수 있게 적절하게 정렬되었는지 확인해 준다.


7. 여단 종심의 독특함은 종심 표적을 식별하기 위해서 여단 CFL 너머 정찰을 위한 지상 감지기, 특히 정찰대대(Cavalry squadron)의 활용에 있다. CFL 너머서 운용하는 것은 우군부대의 안전을 보장하기위해 주의깊은 협조를 필요로 한다. 이 협조의 하나의 핵심 단면은 우군부대의 위치를 지정하기위해 화력금지지멱(NFA)을 설치하는 것이다. 계속적으로 최신화된 NFA는 CFL 너머에서 시기적절한 사격승인절차을 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정찰요원에 대한 전선 행적에 CFL를 두는 것은 정찰대대로부터 기동대대까지의 거리 격차로 인해 여단 근접전투의 중요한 부분에 대한 사격승인훈련을 요구할 수 있기때문에 어려움을 제시한다. 타격받은 균형은 특정 임무와 작전을 둘러싸고 있는 조건에 기반을 둔다. 여단 CFL의 위치 선정을 주의깊게 관리하고 정찰팀과 협조함으로써, 여단은 우군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작전을 지원하기위해 지상 감시자를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


The Unit Airspace Plan (부대 공역계획)

8. 협조의 요점을 위해서, 사단 및 여단은 CFL에 미달 또는 초과하는 화력의 충돌을 해소하기위해 부대공역계획(Unit Airspace Plan)을 만들어야 한다. CFL을 계획할 때 전술적 결정에도 불구하고, 공역은 화력지원운용의 방해없이근접항공지원과 회전익 임무에 대한 신속한 충돌해소와 실시를 승인하기 위해 항상 협조되어야 한다. 부대공역계획은 간접사격 위치와 포목선(gun target line), 회전 및 고정익 회랑, 정보, 감시, 정찰 발사대, 그리고 주지휘소를 고려해야 한다. 부대공역계획은 허용적인 치명적인 화력과 공역협조지역(airspace coordination area) 계획수립시 산물이다. 이것은 공중임무명령주기(air tasking order cycle)와 사단  편제자산의 할당을 초과한 사단 및 여단 작전지역에 있는 것으로 평가된 다중 모형화 표적에 집중하는 것을 지원하는 제대에서 공간 충돌해소를 시각적으로 시연한다. 제대에서 부대공역계획을 만드는 것은 CFL과 작전구성틀내에서 설명되지 않은 허용적이고 충돌이 해소된 화력을 보장한다.

Where This Comes Together: The Target Coordination Board (이것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표적협조위원회)

9.